Clean And Health Livestock

축산업의 밝은 미래를 고객과 함께 만들어 나갑니다.

가축분뇨 ‘맞춤 처방’으로 환경 개선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3/04/03 (09:48) 조회수 366

농식품부, 지역별 사육규모·발생량·경축순환 등 추이 분석

농경지 감소 지역 정화처리, 냄새 지역 위탁처리 비율 등 확대

진단 결과 토대 축산환경 개선 방안, 시·군·구 단위 제시 계획

 

농림축산식품부가 가축분뇨 발생 증가와 냄새 민원으로 고민하는 전국 지방자치단체들과 지역별 맞춤형 전략으로 축산환경 개선에 나선다.

 

농식품부는 지난 28일 축산환경관리원(원장 문홍길)과 함께 실시한 축산환경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자체와 함께 맞춤형 축산환경 개선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전국의 주요 축종(한·육우, 젖소, 돼지, 닭, 오리)농가 10만2천422호와 가축분뇨 처리시설 916개소를 대상으로 사육현황, 가축분뇨 발생·처리 현황, 냄새관리 등을 전수조사한 결과 가축분뇨는 연간 총 5천73만2천톤이 발생했으며, 돼지가 37.9%, 한·육우 34.2%, 가금 18.8%, 젖소 9.1% 순으로 발생했다. 발생한 가축분뇨 중 52.1%인 2천642만6천톤이 농가에서 자가 처리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47.9%는 가축분뇨 처리시설에 위탁해 처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축종별로 살펴봤을 때 자가 농경지를 보유한 한·육우(81.7%)와 젖소(85.0%)는 자가 처리 비중이 높았으며, 돼지, 닭, 오리는 농가의 고령화 및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위탁 처리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축분뇨는 대부분 퇴비(75.3%)와 액비(11.7%)로 만들어져 농경지에 살포되고 있었다. 정화처리 비중은 13%에 불과했는데 지난해 농경지 면적이 약 150만ha로 10년 전보다 약 12.4% 감소했으며 오는 2030년에는 약 10.5%가 추가로 감소한 134만ha로 추정되면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농식품부 분석 결과 가축분뇨 발생량은 분석 대상 159개 시·군 중 73개 시·군은 20% 이상 증가하고 66개 시·군은 2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며 지역별 편차가 존재하면서 맞춤형 처리방안이 필요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체 가축 사육두수의 증가로 가축분뇨 발생량이 증가되면서 농경지 면적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는 A 지자체의 경우 양돈 정화처리 유도 등 가축분뇨 처리 다각화를 검토하는 한편 냄새 민원이 전국 평균보다 훨씬 많은 B 지자체의 경우 위탁처리 주기를 단축하고 비율을 늘리기 위한 시설을 확대하며 냄새저감시설 설치 및 적정관리를 유도한다는 형태다.

 

농식품부는 이와 같은 가축분뇨 실태조사 결과와 지역별 사육규모, 가축분뇨 발생량, 퇴·액비를 활용할 농경지 면적 등의 향후 추이를 분석해 지역별 가축분뇨 처리 상황, 냄새 관리, 농가시설 개선 등 추진이 필요한 축산환경 개선방안을 시·군·구 단위로 제시할 예정이다.

전국 지자체는 축산환경 진단 결과를 활용, 각 지역 여건에 맞는 축산환경 개선계획 및 실행계획 등을 6월 말부터 올해 말까지 수립해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 김정욱 축산정책관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축산환경의 현장을 좀 더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며 “축산환경실태조사와 관련 자료의 분석·진단을 통해 지역별 맞춤형 대책을 수립하고 추진함으로써 각 지역의 축산이 주민과 농업, 환경을 모두 고려한 지속가능한 축산업으로 발전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TOP